지그재그, “낮 2시까지 주문하면 오늘 저녁 도착”
이커머스
![]() |
사진=지그재그 |
1월 중순 이후 ‘퓌 쿠션 글래스 리필기획’ 거래액 304% 급증
아이섀도 팔레트 190%, 립스틱 67%, 블러셔 50% 증가
[어패럴뉴스 조은혜 기자] 카카오스타일(Kakao Style, 대표 서정훈)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소식이 전해진 1월 20일 이후부터 현재까지 메이크업 상품 거래액이 최대 4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가 발표된 1월 20일부터 30일까지 지그재그의 립스틱 판매량은 전월 동기(2022/12/20~30) 대비 67% 증가했다. 같은 기간 립케어와 립밤 상품 판매는 25%, 립 틴트 판매는 10% 늘었다. 보통 연말에 할인 기획전이 몰리는데 해당 기간보다 1월 중순 이후 판매량이 더 늘어난 것은 이례적이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소식으로 립 관련 상품 수요가 증가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립스틱 외에도 메이크업 상품 수요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동일 기간 파우더와 팩트 판매는 52% 증가했으며, 파운데이션은 26%, 피부 결점을 가려주는 컨실러 판매는 20% 늘어났다. 얼굴을 입체적으로 만들어 주는 블러셔 판매량은 50% 증가했고, 셰이딩/컨투어링은 11% 늘었다. 메이크업 지속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메이크업픽서 판매는 18% 증가했다.
색조가 강점인 뷰티 브랜드들의 거래액도 급증하고 있다. 1월 20일부터 30일까지 ‘3CE 뉴테이크 아이섀도 팔레트’ 거래액 증가율은 직전(1/9~19) 대비 190%로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3CE’ 브랜드 전체 거래액도 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채 피부 효과로 알려진 ‘퓌 쿠션 글래스 리필기획’ 거래액은 4배(304%) 급증했으며 립밤, 틴트, 블러셔 등이 주 상품인 브랜드 ‘롬앤’ 거래액도 11% 늘어났다.
1월 31일 기준 지그재그 뷰티 베스트셀러에는 ‘퓌 쿠션 글래스 리필기획’이 1위에 올랐다. 2위와 3위에는 ‘정샘물 에센셜 스킨 누더 쿠션’과 동일 상품 리필 포함 상품이 랭크됐다. ‘롬앤 글래스팅 멜팅밤’, ‘롬앤 쥬시 래스팅 틴트’ 등 립 상품도 상위권에 오르며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뷰티 기획전도 운영 중이다. 오는 2월 6일까지 ‘아이돌 메이크업을 위한 아이템’ 기획전을 진행하고 ‘롬앤’, ‘클리오’, ‘퓌’, ‘릴리바이레드’, ‘페리페라’ 등의 인기 상품을 최대 80% 할인 판매한다. 또한 메이크업 브랜드 ‘에스쁘아’가 출시한 ‘에스쁘아 더 슬릭 립스틱’을 15% 할인하고, ‘미니쿠션’과 ‘거울’ 등 증정 행사를 진행한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내 생산 및 바잉 활동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 1월 말을 기점으로 공장인력들의 복귀와 광저우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해, 이달 현재는 인력 복귀 문제만 제외하고 코로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주최하는 '2023 F/W 서울패션위크'가 15일부터 19일까지 5일 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됐다. 올해 서울패션위크에 투입되는 예산은 총 62억 원(2회 기준), 이번 행사는 유니온, 더모델즈, 트레이드커뮤니티 등이 운영사로 참여했다.
지난해 수도권 28개 백화점·아울렛의 남성 캐릭터캐주얼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2%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패션 대형사들이 줄줄이 역대급 실적을 내놨다. 거래소 및 코스닥에 상장한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패션 대형사들이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이 사상 최대의 매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패션부문 매출이 처음으로 2조 원을 돌파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이 성장하는 가운데, 주도권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백화점·아울렛 30개에서 14개 브랜드의 전년 대비 평균 매출 신장률은 30%대를 기록했다.
‘자라’로 대표되는 스페인 패스트 패션 인디텍스는 외형에서 세계 1위다. 인디텍스의 1월 말 결산 지난해 실적이 발표됐다. 매출이 전년보다 17.5% 늘어난 326억 유로 (349억9,000만 달러), 원화 약 45조8,000억 원, 이익금은 27% 늘어난 41억 유로(44억 달러)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