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및 수도권 15개 백화점 여성 영캐주얼 매출
서울 및 수도권 주요 15개 백화점 여성 영캐주얼 조닝의 지난해(1~12월) 매출은 모두 역 신장을 기록했다. 오픈연차가 짧은 롯데 인천터미널점(2019오픈)과 대규모 증축 리뉴얼 공사 완료 후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해온 현대 천호점 2개점만 한 자릿수 역 신장으로 마감했고, 나머지 점포는 두
서울 및 수도권 주요 15개 백화점 여성 영캐주얼 조닝의 지난해(1~12월) 매출은 모두 역 신장을 기록했다. 오픈연차가 짧은 롯데 인천터미널점(2019오픈)과 대규모 증축 리뉴얼 공사 완료 후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해온 현대 천호점 2개점만 한 자릿수 역 신장으로 마감했고, 나머지 점포는 두
지난해 수도권 20개 백화점·아울렛 캐주얼 실적은 24% 역신장했다. 지방권(-24.5%)보단 마이너스 폭이 덜했으나, 전체 점포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뒷걸음질 쳤다.
지난해 지방권 25개 백화점·아울렛 캐주얼 실적은 24.5% 역신장했다. 전체 점포가 재작년 대비 매출 하락세를 보였다. 그나마 선방한 점포는 롯데 센텀점. 마이너스 폭이 가장 적었지만 -12.9%의 낙폭을 기록했다. 월별로 보면, 1월의 경우 재작년 동월 대비 1.4% 소폭 신장했으나, 2월부터는
지방권 주요 11개 백화점의 지난해 핸드백 매출은 급격한 하향세를 보였다. 점포별로는 20~40%, 브랜드별로는 10~50% 가량 하락했다. 조사 점포 중 현대 대구점의 ‘엠씨엠’과 신세계 센텀시티점 ‘닥스’가 유일하게 전년 대비 신장했다. 또 2019년 대비 보합세를 보인 브랜드
서울 및 수도권 주요 14개 백화점의 지난해 핸드백 매출은 전년 대비 모두 하락했다. 지난해 3월부터 급하강하기 시작, 8월부터 조금씩 회복됐지만, 평년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다. 월 1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브랜드가 존재하는 점포도 현저히 줄었다. 14개 점 중 5곳으로 조사됐다. 롯데 본점이
지난해 주요 골프웨어들의 지방권 백화점 유통 실적은 수도권과 마찬가지로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지방권 주요 17개 백화점을 대상으로 작년 1월부터 11월까지 골프웨어들의 매출 실적을 분석한 결과, 동일 브랜드 기준 10.6%의 신장률을 나타냈다. 월별 추이를 보면 2~3월은 극 부진이다. 코로나가
지난해 골프웨어 업체들의 백화점 유통 실적은 큰 성장세를 보였다. 본지가 수도권 주요 22개 백화점 골프웨어 지난해 11월까지 누적 매출 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년대비 15.4%의 고 성장세를 나타냈다. 신규 입점을 제외한 동일 브랜드 기준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 골프장을 찾는
올 1~10월 지방권 백화점·아울렛의 신사복 매출은 작년 동기간 대비 21.3% 역신장 했다. 상반기에는 25% 역신장으로 수도권 대비 4%p 정도 낙폭이 컸다. 코로나 사태 초기 영남지방의 매출 폭락이 영향을 미친 결과다. 1월은 -8%로 수도권과 비슷했지만, 2월 -31%, 3월 -66%로 수도권에 비해
올 1~10월 서울 및 수도권 주요 백화점·아울렛의 신사복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평균 -20.5% 역신장했다. 상반기에만 -21.3%를 기록, 경조사가 취소되고 재택근무가 확산됨에 따른 정장 판매 감소 여파가 드러났다. 외출 자체가 줄어들면서, 캐주얼 제품 판매도 감소했다. 1분기에는 -30%로
올 1월부터 10월까지 지방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제화 실적은 저조했다.조사 점포 중 현대 부산점을 제외한 나머지 전 점포가 전년 대비 역신장했다. 브랜드별로는 최소 10%, 최대 67% 매출이 하락했다. 하반기 낙폭은 상반기 대비 다소 줄었다. 상반기 대구와 부산 일대 백화점이 특히 고전했지만 하반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1~10월 제화 매출은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팬데믹이 크게 확산됐던 2~4월, 8~10월까지 낙폭이 가장 컸다. 점 평균 절반 가량의 브랜드가 월 1~2천만원 대 매출로 하향 평준화됐고, 월 1억 이상 매출을 올린 경우는 롯데 본점, 현대 미아점의 ‘탠디’
올 1~10월 지방권 주요 15개 백화점 여성 영캐주얼 역시 매출이 전 점 역신장했다. 15개점 합산 기준 21.9%의 매출이 증발했다. 하반기 코로나 2차 대유행으로 상반기 마감 기준(-24.5%)보다 크게 나아지지 못했다. 15개점 중 11개점이 20~33% 마이너스 신장을 보였다. 점별로 보면 롯데는 부산점이 전
서울 및 수도권 주요 15개 백화점 여성 영캐주얼 조닝의 올 상반기(1~10월) 매출은 모두 역 신장을 기록했다. 2개점만 한 자릿수 역 신장으로 마감했고, 두 자릿수 밑졌다. 2분기까지 대부분 20~30% 역 신장세를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일부 점포는 낙폭이 다소 줄었다. 점포별로 보면 롯데 본점이 전년
올 1~9월 지방권 28개 백화점·아울렛 캐주얼 실적은 수도권(-24.8%)보다 선방한 수준이지만, 23.1% 역신장했다. 백화점은 -25.2%, 아울렛은 -20.3%의 낙폭을 기록했다. 월 별로 보면, 전년 동월 대비 1월에는 2.6% 소폭 신장했으나 2월은 -40.7%로 급감했다. 3월은 -55.4% 빠지면서 전년의 ...
올 1~9월까지 주요 캐주얼 브랜드들의 수도권 백화점·아울렛 실적은 전년 대비 24.8% 역신장했다. 백화점은 -26.1%, 아울렛은 -20.1%의 낙폭을 기록했다. 기간 별로 보면, 1월은 -6.5%로 소폭 하락했으나 2월 -26.6%로 매출이 급감하기 시작했다. 3월은 -42.8%로 가장 상황이 좋지 못했다. 2분
지방권 주요 35개 백화점·아울렛 남성 캐릭터 캐주얼 매출은 작년 동기간 대비 -21% 역신장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매출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매장 판촉은 무용지물이었고 C~D급 지방 점포들은 역신장 폭이 더 커졌다. 상반기 백화점 축소 움직임을 보여온 브랜드들은 하반기 MD부터 빠지
올 1~9월, 수도권 주요 23개 백화점, 아울렛 남성 캐릭터캐주얼 매출은 전년 동기간 대비 평균 -25% 역신장했다. 코로나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올 초까지 백화점과 아울렛 의존도가 80%를 넘긴 상태여서 여파는 더 심했다. 브랜드들은 채널을 확대하고 조직과
올 1~8월까지 8개월간 주요 아웃도어 브랜드들의 지방권 백화점 유통 실적은 수도권보다도 더 부진했다. 수도권은 -11%의 역신장을 보인 반면 지방권 -16%의 역신장을 나타냈다. 네파, 노스페이스, 디스커버리, 블랙야크, 밀레, 아이더, 컬럼비아, 케이투, 코오롱스포츠 등
올 1~8월까지 8개월간 주요 아웃도어 브랜드들의 수도권 백화점 유통 실적은 부진했다. 코로나19로 고객 유입이 줄었고, 확진자 방문으로 인한 잦은 휴점이 주 요인으로 보인다. 특히 대리점 유통은 재난지원금 영향으로 5~6월 매출이 크게 상승했던 반면,
지방권 주요 11개점 백화점의 올 1월부터 7월까지 핸드백 매출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코로나 영향으로 2월부터 큰 폭으로 하락하기 시작했고 5월, 6월 매출이 소폭 반등하면서 점포별로 30~60% 가량 매
올 1월 여성 영캐주얼 조닝은 롯데, 현대, 신세계 주요 47개점 23개 브랜드 기준 17.5%(행사매출 포함) 마이너스 신장으로 마감했다.작년 1월 춥지 않은 날씨로 두 자릿수 역 신장세를 기록한데 이어 코로나 영향으로 잦고 매서운 추위에도 발길이 줄며 올해 역시 겨울상품 판매가 쉽지 않았다. 2월도
서울 및 수도권 주요 15개 백화점 여성 영캐주얼 조닝의 지난해(1~12월) 매출은 모두 역 신장을 기록했다. 오픈연차가 짧은 롯데 인천터미널점(2019오픈)과 대규모 증축 리뉴얼 공사 완료 후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해온 현대 천호점 2개점만 한 자릿수 역 신장으로 마감했고, 나머지 점포는 두
26일 공식 오픈하는 현대백화점의 ‘더현대 서울’ 여의도점에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기존 유통의 혁신이 요구되는 시점에 문을 여는, 서울권 최대 점포기 때문이다.
3~4년 전 ‘나이키’로 인해 국내 유통사들은 큰 혼란을 겪었다.매장 수는 줄이되 단위당 규모와 매출을 키우겠다며 ‘나이키’가 새로운 오프라인 정책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나이키’는 100평 이하 일반 매장은 오픈을 자제하는 동시에 효율이 낮다고 판단되는 기존
패션 기업들이 인플루언서 매니지먼트, MCN(멀티채널네트워크) 사업에 잇달아 뛰어들고 있다.업계는 MZ세대 흡수를 위해 인플루언서를 통한 홍보 및 판매가 필요한 상태지만, 인플루언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일부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인플루언서 및 콘텐츠 개발에 착수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25년이면 파리가 뉴욕을 제치고 세계 1위의 패션 도시가 될 것이라는 흥미로운 예측이 나왔다. 패션 전문지 보그 비즈니스가 패션과 명품 산업 분석에 정통한 IFDAQ의 연구 보고서를 독점 게재한 내용이다. 이와 함께 런던이 밀라노를 제치고 3위로 부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IFDAQ는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