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 인도네시아 세르퐁에 50번째 점포 오픈
대형마트
![]() |
사진=롯데백화점 수원점 |
수원점 1100억, 잠실점 1500억 원
서울 상암, 인천 송도 복합몰 건립
[어패럴뉴스 정민경 기자] 롯데쇼핑(대표 김상현, 강성현, 정준호)이 내년 백화점 주요 점포 리뉴얼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다. 롯데쇼핑은 향후 5년간 약 8조1000억 원의 신규 투자를 단행한다고 밝혔다.
먼저 롯데백화점 수원점과 잠실점 전관 리뉴얼에 각각 1100억 원, 1500억 원의 투자를 집행했다. 넓은 쇼핑 동선을 위한 대규모 인테리어 공사는 물론, 몰과의 시너지 효과를 올릴 수 있는 MD 개편에 초점을 맞췄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2월 쇼핑몰 사업을 맡았던 롯데자산개발을 흡수, 잠실 롯데월드몰, 롯데몰 김포공항·은평·수원·수지·산본 등 총 6개 점포를 편입시켰다.
수원점이 첫 시작으로, 빠르면 내년 5월 착공에 들어간다. 수원몰과 중복되는 브랜드는 하나로 개편하는 등 시너지를 내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 |
수원은 내년 12월 신세계 스타필드도 오픈을 앞두고 있어, 선제적 대응에 나서는 것으로 분석된다.
잠실점은 롯데의 안테나 점포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착공은 내년 10월 이후로 계획 중이며, 약 두달간 전관 리뉴얼에 들어간다.
잠실점 역시 롯데월드몰과 시너지를 내는 방향의 MD 개편을 단행한다. 관건은 조닝별 수입·명품 브랜드 유치로, 잠실점과 롯데월드몰을 합쳐 리뉴얼 이후 연간 3조 원의 매출을 목표로 세웠다.
뒤이어 롯데 본점, 부산점, 인천점, 동탄점, 평촌점이 리뉴얼에 들어간다.
강남점은 올 1월 전담 TFT를 신설하는 등 공격적인 리뉴얼 계획을 세웠으나, 명품 유치 불발로 잠정 중단된 상태다.
주요 점포 리뉴얼과 함께 서울 마포구 상암동과 인천 송도 등에 대규모 복합몰 개발도 추진한다. 신규 점포 개발은 백화점사업부 신사업개발부문이 맡아 추진 중이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