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엠컴퍼니, 친환경 담은 23SS 컬렉션 출시
소재
![]() |
사진=23SS 시즌 원단 컬렉션 |
천연염색, 리사이클 등 라인업
[어패럴뉴스 정민경 기자] 국내 원단회사 에이엠컴퍼니(대표 강태정)가 12월 자연을 담은 친환경 라인의 23SS 시즌 원단 컬렉션을 출시했다.
오염되지 않은 대지, 순수한 물, 자연의 사막에서 영감을 받아 친환경적인 테마를 담은 시리즈 물로 자연의 컬러를 담은 팔레트와 소재를 사용해 출시된 신상품이다. 오가닉 코튼, 천연염색, 리사이클 소재, 자연의 질감을 느낄 수 있는 라인업으로 구성됐다.
대표적인 아이템은 3년 동안 화학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천연의 토지에서 자란 목화를 원료한 싱글 조직의 ‘오가닉 코튼’ 원단이다. 일반적인 코튼 원단의 경우, 식물성 섬유라는 인식으로 인해 환경적으로 무해한 천연소재의 원단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코튼 재배를 위해 많은 양의 물과 벌레, 해충의 유입을 막기 위한 많은 살충제와 농약을 사용해 대지와 바다, 공기를 오염시킨다.
그렇기에 에이엠컴퍼니는 우기가 잦은 곳에서 재배하며 자연스럽게 자라난 목화를 채취하는 GOTS(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s), OCS(Organic Content Standard) 인증 기준에 부합한 오가닉 코튼을 출시했으며, 이러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오가닉 코튼 소재가 각광받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식물성 재료에서 추출한 염료로 염색하여 유해한 화학 폐수 방출이 없는 ‘오가닉 코튼 천연 염색’ 원단을 출시했다. 섬유산업과 염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 물 사용량과 폐수량으로 인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짐에 따라 천연 염색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천연염색은 현저히 낮은 환경 오염물질 배출로 인하여 화학 염색의 완벽한 대안이 되고 있으며, 피부 트러블 개선과 편안한 색감을 통한 시각적 피로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준다. 화학 염색대비 염색에 사용되는 물과 섬유의 가공 온도도 낮아 에너지 사용량까지 감소시키는 지속 가능한 공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에이엠컴퍼니 측은 “두 원단 모두 민감성 피부와 아동복으로 사용되며, 친환경적인 접근의 브랜드들의 수요가 높은 원단”이라며 “이번 23SS는 이 외에도 리사이클 나일론을 사용한 NO.117과 면사 공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부속물들을 재활용하여 만든 네이쳐, 사막의 표면감에서 영감을 받은 NO.114, 샌드와플 원단도 만나볼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