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에른, IFC몰에 컨셉 스토어 'The Universe' 오픈
제화
![]() |
사진=쿠에른 |
[어패럴뉴스 박해영 기자] 더솔라이브러리(대표 강경미)의 프리미엄 가죽 슈즈 브랜드 '쿠에른(CUEREN)'이 22F/W 시즌을 맞아 모스코(MOSCOW) 컬렉션 신제품을 출시한다.
모스코 컬렉션은 6cm의 두께감 있는 청키힐과 힐의 단점을 보완하는 여유로운 앞쪽 공간감이 특징인 제품으로 쿠에른이 자랑하는 편안한 착화감을 느낄 수 있는 컬렉션이다.
새롭게 출시된 ‘모스코 04 니하이 부츠’는 페미닌한 무드를 극대화한 제품으로 모스코 컬렉션만의 부드러운 곡선 라인과 옆에서 봤을 때 느껴지는 유려한 실루엣이 특징이다. 특히 쿠에른의 다른 롱부츠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넓은 종아리 둘레와 가늘게 디자인된 발목 부분은 슬림한 핏을 보여주며, 푹신한 쿠션과 공간감 있는 라스트 모양 덕분에 높은 굽을 신은 것 같지 않은 완벽한 착화감을 선사한다.
함께 출시된 ‘모스코 05 힐 로퍼’는 단정한 무드와 모던한 스타일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제품으로 모스코 컬렉션만의 부드러운 곡선적인 매력을 더했다. 여기에 높은 굽 덕분에 힐 구두가 주는 자신감과 비율을 모두 챙길 수 있다.
한정수량으로 선보이는 이번 제품은 쿠에른 공식 홈페이지와 가까운 오프라인 매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행동주의 펀드로 최근 유명세를 타고 있는 트러스톤자산운용(대표 김영호, 황성택)이 패션, 소재 기업의 지분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특정 기업의 지분 확보를 통해 주주 지위를 획득한 후
지방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완전히 회복세로 돌아섰다. 조사 점포별로 약 80~90%의 브랜드들이 전년 대비 신장했고, 신장률도 두 자릿수 이상 큰 폭 상승했다. 브랜드별로는 ‘탠디’가 6개, ‘금강’이 2개, ‘닥스’가 1개 점에서 1위를 차지했다.
패션 경기가 심상치 않다. 12월 말부터 주춤하기 시작하더니, 1월 들어서는 업계 전반에 걸쳐 역신장 흐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남성복, 여성복, 아웃도어 등 대중적인 시장은 물론이고, 꺾일 줄 모르던 명품 시장마저도 주춤하다. 작년, 재작년 높은 성장세를
LF(대표 오규식, 김상균)가 MZ세대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자사몰인 LF몰과 운영 브랜드의 온라인 채널 강화가 핵심이다. 우선 LF몰은 20~30대 타깃의 입점 브랜드를 육성하고 콘텐츠 제작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입점 브랜드들의 거래액 비중은 20%였다.
글로벌 명품 시장을 리드하는 LVMH 그룹의 12월 말 결산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23% 늘어난 791억8,400만 유로(862억 달러), 당기 순이익은 17% 늘어난 141억 유로로 마감됐다.
최근 질레니얼스(Zillenerials)라는 말이 등장했다. Z세대와 밀레니얼스 세대의 합성어다. 제네리얼스(Zenerials)라고도 한다. 그만큼 밀레니얼스와 Z세대가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강해졌다는 의미를 뜻하는데, 특히 패션과 명품의 경우 더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