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복 ‘시에(SIE)’, 오프라인 돌풍
여성복
![]() |
사진=시에 |
[어패럴뉴스 조은혜 기자] 시즌리스(대표 김태희)가 전개하는 여성복 ‘시에(SIE)’가 더현대 서울에서 3개월 간 18억이 넘는 매출을 기록했다.
오픈일인 8월 25일부터 9월 말까지 7억 원 이상의 매출을 거둔데 이어 10월 5억 원 이상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고, 11월에도 27일 기준 5억5천만 원 이상의 매출을 달렸다.
더현대 서울점 오픈에 앞서 올 1월 진행한 판교점 팝업 매출 6억5천만 원(일주일간)까지 더하면, 백화점을 통해 거둔 매출은 누적 26억 원 이상이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탄탄한 팬덤을 구축하고 있어 인스타그램 라이브방송, 고객 바이럴을 통한 온라인 고객의 매장 유입 효과가 이어진 결과다. 반대로, 오프라인 매장 오픈 이후 자사몰 신규 가입자 수가 일 30명 이상, 많게는 80~90명씩 늘어나는 시너지가 났다.
내년 중순에는 청담동 쇼룸을 확장 이전, 새롭게 리뉴얼 한다. 현재 4층에 위치해 있는데 1층이나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해 접근성을 높이고, 브랜드 컨셉을 더욱 드러내는 공간으로 재단장할 예정이다.
![]() |
사진=시에 더현대 서울 |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내 생산 및 바잉 활동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 1월 말을 기점으로 공장인력들의 복귀와 광저우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해, 이달 현재는 인력 복귀 문제만 제외하고 코로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주최하는 '2023 F/W 서울패션위크'가 15일부터 19일까지 5일 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됐다. 올해 서울패션위크에 투입되는 예산은 총 62억 원(2회 기준), 이번 행사는 유니온, 더모델즈, 트레이드커뮤니티 등이 운영사로 참여했다.
지난해 수도권 28개 백화점·아울렛의 남성 캐릭터캐주얼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2%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패션 대형사들이 줄줄이 역대급 실적을 내놨다. 거래소 및 코스닥에 상장한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패션 대형사들이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이 사상 최대의 매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패션부문 매출이 처음으로 2조 원을 돌파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이 성장하는 가운데, 주도권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백화점·아울렛 30개에서 14개 브랜드의 전년 대비 평균 매출 신장률은 30%대를 기록했다.
‘자라’로 대표되는 스페인 패스트 패션 인디텍스는 외형에서 세계 1위다. 인디텍스의 1월 말 결산 지난해 실적이 발표됐다. 매출이 전년보다 17.5% 늘어난 326억 유로 (349억9,000만 달러), 원화 약 45조8,000억 원, 이익금은 27% 늘어난 41억 유로(44억 달러)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