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컨템포러리 남성복, 해외파 누르고 고성장
백화점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 본점·강남점, 롯데 본점 등 주요 20여개 백화점 기준 남성 컨템포러리 13개 브랜드의 올 1~5월 누계 기준 매출이 평균 29% 신장했다. 코로나 이전부터 이어진 소비 양극화,
![]() |
사진제공=한국탄소거래표준원 |
[어패럴뉴스 조은혜 기자] 한국탄소거래표준원(대표 김항석)이 패션의류 브랜드 아끌(대표 허소현)과 국제적 탄소중립 인증을 위한 업무 협약을 진행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기업의 탄소중립과 ESG활동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패션 분야 협력과 활동 활성화로 지속 가능한 목표 달성에 기여한다는 공동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개발 협력 지원, ▲탄소저감을 위한 협력 방안 모색, ▲패션분야 지속 가능성을 위한 협업, ▲UN-SDGs 달성 기회 발굴, ▲탄소저감을 위한 협력체 셰르파(SHERPA) 활동, ▲ 관련 인프라·정보 공유 및 사업홍보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탄소거래표준원의 탄소저감을 통한 UN-SDGs의 달성으로서 융합적 해법과 기술을 통해 실제적이고 중장기적인 탄소저감을 목표 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백화점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 본점·강남점, 롯데 본점 등 주요 20여개 백화점 기준 남성 컨템포러리 13개 브랜드의 올 1~5월 누계 기준 매출이 평균 29% 신장했다. 코로나 이전부터 이어진 소비 양극화,
올 1~5월 수도권 32개 백화점·아울렛 남성 캐릭터 캐주얼 매출은 작년 동기간 대비 15.8%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엔데믹 시대를 앞두고 보복 소비와 경조사, 면접 재개, 사무실 복귀 등이 맞물리면서 대부분 브랜드들이 성장했다. 특히 슈트 매출이 뚜렷한
미 로이터 통신이 중국 패션 중심지 상하이의 록다운이 해제된 지 1개월 가까이 됐지만 소비 심리가 얼어붙어 중심가 의류 매장이 록다운 이전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고 전했다. 진열대를 교체하지 않은 상태로 매장이 유지되고, 수입 의류 컨테이너들은
국내 유력 패션 업체들이 그동안 에이전시를 통해 아웃소싱으로 진행해온 마케팅 업무를 내재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주목된다. 과거 패션 업계에서의 마케팅은 광고 및 화보 촬영, 매장 POP 등 판촉물 제작 등 광고 비주얼과 관련된 업무가 주였다.
글로벌 컨설팅 그룹 맥킨지앤컴퍼니(Mckinsey & Company)가 연초 글로벌 패션 산업 전망 ‘the State of Fashion 2022’ 발간 이후 급변한 글로벌 패션 시장에 대한 전망 자료를 새롭게 내 놨다. 그룹 파트너 아킴 버그(Achim Berg)와 편집장 로베르타 후사로
남성복 업계가 편집 구성한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 바잉 상품 예산을 전체의 40~50%로 책정하거나, 아예 신규 편집숍 사업을 시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