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 서양네트웍스 대표 “프리미엄 유아동의 독보적인 입지 더욱 강화해나갈 것”
인터뷰
발행 2022년 05월 26일
박해영기자 , envy007@apparelnews.co.kr
![]() |
로라 시트론(Laura Citron), 런던앤파트너스 CEO |
런던 최대 상업지구 ‘웨이스트엔드’ 한국 브랜드 인기 상승
코로나 이후 리오프닝 맞아 리테일 규제 완화
[어패럴뉴스 박해영 기자] 옥스퍼드 스트리트로 알려진 영국 런던의 최대 문화·상업 지구 웨이스트엔드가 코로나 이후 리오프닝을 맞아 한국 브랜드 유치에 적극 나섰다. 모든 코로나19 펜데믹에 대한 법적 규제를 완화하고 무료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지원책을 강화하며 런던시 투자 기관인 런던앤파트너스를 통해 한국 기업 진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로라 시트론(Laura Citron) 런던앤파트너스 CEO가 서면 인터뷰를 통해 지원 방향과 계획을 전해 왔다.
Q. 런던앤파트너스는 어떤 곳인가.
전 세계 스타트업을 비롯 다국적 기업들이 영국을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리테일 출점을 유치하는 일도 한다. 최근 브랜드와 웨스트엔드의 건물주를 연결하고 컨설팅하는 무료 서비스를 시작했다.
Q. 런던시가 웨스트엔드에 투자를 집중하는 이유는.
지난 5년 간 런던에 총 460건의 해외 리테일 투자가 진행됐고, 팬데믹 이전 연 2억 명이 방문해 100억 파운드를 소비했다. 이중 웨스트엔드는 런던의 허브로, 300년 이상 상업 및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옥스포드, 리젠트 스트리트, 소호, 코벤트 가든 일대에 200여 개 럭셔리 매장이 들어서 있다. 향후 50억 파운드(약 7조8,486억)를 투자, 유럽 핵심 쇼핑 거리로 육성한다.
![]() |
오세요(Oseyo) |
Q. 팬데믹 이전만큼 회복되고 있나.
영국은 올 2월 팬데믹 규제를 전면 해제, 방문객이 약 80%까지 회복됐다. 2년 내 완전한 회복, 3년 차에는 급성장이 예상된다. 회복 속도를 앞당기기 위해 해외 관광객 유치 캠페인 ‘레츠 두 런던(Let's Do London)’을 런칭했다. 그 결과 웨스트민스터 시티 카운실로부터 1억9,000만 파운드를, '웨스트엔드 2027' 계획에 따라 10억 파운드가 추가 유치, 갤러리, 레스터 광장, 피카딜리 서커스 등을 아우르는 아트쿼터(Arts Quarter)를 설립하게 됐다.
Q. 영국 정부가 리테일 활성화를 위해 도입한 새 정책은 어떤 것인가.
2020년 9월부터 간편 임대 시스템인 'E클래스'를 시행, 실효를 거두고 있다. 임대인과 임차인의 계획서나 허가 신청서를 생략, 언제든지 사무실, F&B, 레크리에이션·레저 등으로 용도 변경이 가능하다. 리테일 환경 변화가 빠르고, 복합 쇼핑 공간에 니즈가 커짐에 따른 것이다. 그 결과 최근 카페나 체험공간, 인터렉티브 스토어가 늘어나고 있다.
![]() |
오세요(Oseyo) / Wing Wing - Nic Crilly-Hargrave |
Q. 한국 브랜드에 대한 현지 반응은 어떤가.
뷰티와 F&B가 가장 두각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 채링 크로스로드는 한국 매장이 늘면서 ‘K로드’로 불린다. 영국 최대 한인 마트 ‘오세요(Oseyo)’, 타비스톡 스퀘어, 해머스미스 등이 대표적인 곳들이다. 차이나타운에 오픈한 치맥 브랜드 ‘윙윙’도 화제다. 글램터치와 네이처리퍼블릭은 로드숍을, 닥터 자르트, 토니모리, 어보리안 등은 웨스트엔드의 셀프리지(Selfridges)에 입점돼 있다. 관광객은 물론 현지인들도 한국 브랜드를 선호해 지금이 진입의 적기다.
Q. 웨스트엔드 진출을 검토 중인 한국 업체에 전할 말이 있다면.
런던앤파트너스는 런던 진출을 원하는 한국 기업의 현지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측면 지원한다. 영국 정부도 개방적이고 유연한 정책으로 브랜드 유치에 적극적이다. 그래서 과거와 달리 쉽고 빠르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진출이 가능해졌다. 한국 기업들은 이제 이곳에서 유명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국제적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될 것이다.
![]() |
Korean Dinner Party |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백화점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 본점·강남점, 롯데 본점 등 주요 20여개 백화점 기준 남성 컨템포러리 13개 브랜드의 올 1~5월 누계 기준 매출이 평균 29% 신장했다. 코로나 이전부터 이어진 소비 양극화,
올 1~5월 수도권 32개 백화점·아울렛 남성 캐릭터 캐주얼 매출은 작년 동기간 대비 15.8%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엔데믹 시대를 앞두고 보복 소비와 경조사, 면접 재개, 사무실 복귀 등이 맞물리면서 대부분 브랜드들이 성장했다. 특히 슈트 매출이 뚜렷한
미 로이터 통신이 중국 패션 중심지 상하이의 록다운이 해제된 지 1개월 가까이 됐지만 소비 심리가 얼어붙어 중심가 의류 매장이 록다운 이전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고 전했다. 진열대를 교체하지 않은 상태로 매장이 유지되고, 수입 의류 컨테이너들은
국내 유력 패션 업체들이 그동안 에이전시를 통해 아웃소싱으로 진행해온 마케팅 업무를 내재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주목된다. 과거 패션 업계에서의 마케팅은 광고 및 화보 촬영, 매장 POP 등 판촉물 제작 등 광고 비주얼과 관련된 업무가 주였다.
글로벌 컨설팅 그룹 맥킨지앤컴퍼니(Mckinsey & Company)가 연초 글로벌 패션 산업 전망 ‘the State of Fashion 2022’ 발간 이후 급변한 글로벌 패션 시장에 대한 전망 자료를 새롭게 내 놨다. 그룹 파트너 아킴 버그(Achim Berg)와 편집장 로베르타 후사로
남성복 업계가 편집 구성한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 바잉 상품 예산을 전체의 40~50%로 책정하거나, 아예 신규 편집숍 사업을 시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