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도어 ‘플리스’ 매출 반토막, ‘경량 패딩’ 대체
스포츠
![]() |
사진=디스커버리 |
동일점 기준 신장률 20.3% … 전점 플러스 성장
노스페이스 33.7%, 코오롱스포츠 54.5%로 강세
[어패럴뉴스 오경천 기자] 올해 아웃도어 브랜드들의 지방권 백화점 및 아울렛 유통 실적은 전년에 비해 큰 폭 성장세를 나타냈다. 주요 9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1~10월까지 주요 26개 점포에서의 실적을 조사한 결과, 동일점 기준 평균 20.3%의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15.3%보다 5%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중장년층 단체들의 아웃도어 활동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올해 들어 등산이나 하이킹 등 중장년층들의 단체 모임이 증가하면서 의류 구매가 활발하게 이뤄졌다는 분석.
아웃도어 브랜드들은 26개 전 점포에서 플러스 성장세를 나타냈다. 수도권 36개 점포에서는 1개 점을 제외한 35개 점포에서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아울렛 점포에서 강세다. 롯데 동부산, 김해 등 주요 점포에서 20% 중후반대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브랜드별 실적으로 디스커버리,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내셔널지오그래픽의 활약이 돋보였다. ‘디스커버리’는 26개 점포에서 전년 대비 14.2% 신장한 378억5,200만 원으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성장률이 큰 폭으로 뛰었다. ‘노스페이스’는 24개 점포에서 33.7% 신장한 296억4,900만 원, ‘코오롱스포츠’는 26개 점포에서 54.5% 신장한 291억7,700만 원을 각각 기록했다.
‘내셔널지오그래픽’도 39.1%의 고성장을 나타냈다. 전년보다 매장이 3개 늘어났고, 점포별 매출도 30%가량 뛰었다. 23개 매장에서 272억5,900만 원을 기록했다.
주요 점포별 실적을 살펴보면, 롯데 부산본점에서 13.5%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네파’만 –14.9%로 부진했고, 나머지 8개 브랜드는 모두 플러스 성장이다. 그 중 ‘노스페이스’가 39.8%, ‘코오롱스포츠’가 42.8%로 활약이 컸다. 매출은 ‘디스커버리’가 30억 원대로 가장 높았다.
롯데 포항점에서는 7.1%의 소폭 성장세다. ‘디스커버리’가 두 자릿수 역신장으로 크게 부진했고, ‘네파’도 한 자릿수 소폭 역신장을 기록했다. 반면 ‘코오롱스포츠’는 34.6%, 노스페이스와 아이더, 블랙야크는 10%대 성장률로 선방했다.
롯데아울렛 김해점에서는 전 브랜드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며 26.8%의 높은 신장률을 나타냈다. ‘코오롱스포츠’가 69.1%, ‘디스커버리’가 32.9%, ‘내셔널지오그래픽’이 27.6% 성장했다. 매출은 ‘디스커버리’와 ‘내셔널지오그래픽’이 40억 원대로 압도적이다.
롯데아울렛 동부산점 역시 전 브랜드가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며 29.9%의 높은 신장률을 나타냈다. ‘코오롱스포츠’와 ‘내셔널지오그래픽’이 60%대 성장률과 매출 1, 2위로 맹활약했다. ‘코오롱스포츠’는 66.7% 성장한 30억2,700만 원, ‘내셔널지오그래픽’은 60% 성장한 30억900만 원을 각각 기록했다.
![]() |
![]() |
- 보다 자세한 매출 정보는 어패럴뉴스 홈페이지 매출DB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