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요 12개 백화점 남성 컨템포러리 매출
보복 소비, 경조사 효과도 끝...5월부터 매출 하락세

발행 2023년 07월 26일

이종석기자 , ljs@apparelnews.co.kr

 

신세계 본점 남성 조닝 / 사진=어패럴뉴스

 

‘우영미’ 신장률 33% ‘톱’

신세계 강남 100억 매출

 

[어패럴뉴스 이종석 기자] 수도권 주요 12개 백화점의 올해 상반기 남성 컨템포러리 매출은 2.6%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간별로 1분기는 지난해에 이어 보복 소비 영향으로 크게 신장했다. 1월 보합, 2월 4.6%, 3월 16.8%로 큰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2분기부터 감소세를 보였다. 4월 6.3%, 5월 -0.4%로 크게 하락했다. 6월에는 -9.7%를 기록하며 지난 1년간 최대 역신장률을 기록했다. 경기에 민감한 남성복 특성상,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더불어 지난 2~3분기 고신장을 기록한 데 따른 역기저 현상, 패션이 아닌 여행 등으로의 소비 분산도 영향을 미쳤다. 업계 관계자들은 경기 악화 전망에 따라 남은 3~4분기도 매출을 끌어올리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브랜드별 신장률은 ‘우영미’, ‘송지오’, ‘클럽모나코’가 선두권이었다. 우영미는 33% 신장했다. 2월 역신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성장했다. 갤러리아 명품관, 신세계 본점에서 약 3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갤러리아 명품관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 기준 매출액의 절반을 차지한다. 신세계 본점에서는 40% 비중에 육박하며 압도적인 매출액을 보여주고 있다.

 

‘송지오’와 ‘클럽모나코’는 각각 18%, 6% 성장했다.

 

‘타임옴므’, ‘띠어리’, ‘산드로’ 등은 보합세를 보였고 그 외 나머지 브랜드들은 소폭 역신장했다. 점유율은 지난해와 큰 차이가 없었다. ‘타임’, ‘시스템’이 선두인 가운데, ‘띠어리’와 ‘솔리드옴므’가 치열한 3위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점포별로는 8개점이 신장, 3개점이 역신장으로 마감했다.

 

선두는 신세계 본점, 롯데 본점이었다. 각각 18%, 14% 성장했다. 그 다음으로는 신세계 경기점이 10% 성장, 롯데 잠실, 인천점은 7% 신장했다.

 

반면, 신세계 강남점, 갤러리아 광교점이 각각 -7%, -10%를 기록하며 역신장했다. 신세계 하남점은 -20%로 크게 역신장했다.

 

매출 규모로는 신세계 강남점이 1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수도권 선두 점포 자리를 유지했다. ‘타임옴므’, ‘솔리드옴므’, ‘띠어리’, ‘질스튜어트뉴욕’ 등 4개 브랜드의 매출이 10억 원을 돌파했다. 그 뒤를 이어 신세계 본점이 80억 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본점에서는 ‘타임옴므’가 10억 원을 넘겼다.

 

 

 

 

- 자세한 매출 정보는 어패럴뉴스 홈페이지 매출DB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기 버튼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광고배너 이미지

지면 뉴스 보기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
지면 뉴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