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라 언더웨어, ‘휠라벨로 컬렉션’ 출시
이너웨어
![]() |
아디다스, 리복에서 30년간 근무
휠라, 글로벌 조직력 대대적 강화
[어패럴뉴스 오경천 기자] 휠라홀딩스(대표 윤근창)는 지난 17일(현지 시간) 휠라 USA(FILA U.S.A. Inc.) 신임 대표이사로 토드 클라인(Todd Klein)을 선임했다. 휠라 USA는 휠라홀딩스의 자회사로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북미 지역에서 의류 및 신발 도소매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토드 클라인 신임 대표는 미국 테네시대학교 정치학과, 하버드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수료한 후 ‘아디다스’와 ‘리복’에서 30년간 활동했던 인물이다.
1993년 ‘아디다스’ 세일즈 담당으로 시작해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리복’ 글로벌 스포츠 마케팅 이사로 활동하며 브랜드 이미지 재정립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이후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아디다스’ 글로벌 제품관리부문 부사장직을 지내며 러닝 사업 매출을 2014년 13억 유로에서 2018년 22억 유로로 끌어올렸다.
그리고 2018년에는 ‘아디다스’ 어드밴스드 콘셉트 부문 부사장에 선임되는 등 그룹 내 입지전적의 인물로 통한다.
토드 클라인 휠라 USA 대표는 “휠라가 새롭게 지향하는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스포츠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직원들의 개인 역량도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윤근창 휠라홀딩스 대표는 “글로벌 스포츠 패션업계에서 뛰어난 영향력을 발휘해 온 토드 클라인이 휠라의 글로벌 5개년 전략 ‘위닝 투게더’를 성공적으로 실행하면서 브랜드 가치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휠라홀딩스는 작년 초 글로벌 5개년 전략 발표와 함께 조직력을 대대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작년 초 글로벌 전략 마케팅 디렉터로 루카 버톨리노를 선임한 데 이어 ‘휠라’의 글로벌 전체 브랜드 사업권을 소유하고 있는 휠라 룩셈부르크 퓨추라 이노베이션팀 수장으로 휠라, 나이키, 아디다스 등에서 활동했던 마이클 피비토를, 디자인팀 수장으로는 푸마, 아디다스 등에서 활동했던 토스텐 허쉬티터를 각각 선임한 바 있다.
휠라홀딩스가 지난해 2월에 발표한 휠라 5개년 전략은 ▲브랜드 가치 재정립 ▲고객 경험 중심 비즈니스 모델 구축 ▲지속가능 성장을 추구해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제품 및 마케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내 생산 및 바잉 활동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 1월 말을 기점으로 공장인력들의 복귀와 광저우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해, 이달 현재는 인력 복귀 문제만 제외하고 코로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주최하는 '2023 F/W 서울패션위크'가 15일부터 19일까지 5일 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됐다. 올해 서울패션위크에 투입되는 예산은 총 62억 원(2회 기준), 이번 행사는 유니온, 더모델즈, 트레이드커뮤니티 등이 운영사로 참여했다.
지난해 수도권 28개 백화점·아울렛의 남성 캐릭터캐주얼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2%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패션 대형사들이 줄줄이 역대급 실적을 내놨다. 거래소 및 코스닥에 상장한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패션 대형사들이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이 사상 최대의 매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패션부문 매출이 처음으로 2조 원을 돌파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이 성장하는 가운데, 주도권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백화점·아울렛 30개에서 14개 브랜드의 전년 대비 평균 매출 신장률은 30%대를 기록했다.
‘자라’로 대표되는 스페인 패스트 패션 인디텍스는 외형에서 세계 1위다. 인디텍스의 1월 말 결산 지난해 실적이 발표됐다. 매출이 전년보다 17.5% 늘어난 326억 유로 (349억9,000만 달러), 원화 약 45조8,000억 원, 이익금은 27% 늘어난 41억 유로(44억 달러)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