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체, 라이브커머스 직접 투자 확대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 |
사진=‘타미X미피 (TOMMY X MIFFY)’ |
[어패럴뉴스 조은혜 기자] 타미 힐피거(Tommy Hilfiger)가 2023년 토끼의 해를 기념으로 ‘타미X미피 (TOMMY X MIFFY)’ 캡슐 컬렉션을 출시한다.
타미 힐피거는 “이번 콜라보레이션은 우리 브랜드의 천진하고 낙관적인 정신을 반영한 창의성을 담은 캔버스이다. 미피의 모험심과 새로운 경험을 두려워하지 않는 긍정적인 정신은 우리 브랜드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잘 담고있다. 타미X미피 컬렉션은 프레피 문화와 장난스러운 스타일의 완벽한 만남이다.“라고 말했다.
남성, 여성, 아동 의류 및 스니커즈 등 총 50개의 스타일로 구성된 이번 협업 컬렉션은 미피 캐릭터를 살려 타미 힐피거의 아이코닉한 프레피 스타일을 재해석한다. 바시티 자켓, 치노 팬츠, 럭비 셔츠, 스웨터 등 모던 클래식의 대표 아이템들이 미피 앰블럼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타미 힐피거의 아이코닉한 레드, 블루가 메인 컬러로 전개된다.
1955년 네덜란드 작가 겸 일러스트레이터 딕 브루나의 손에서 탄생한 미피는 수십년 동안 사랑 받는 캐릭터로, 세계적으로 8,500만 부 이상의 서적이 판매됐다. 오늘날 미피는 전 세계 어린이와 어른들에게 여전히 사랑받는 진정한 팝 컬처의 아이콘이다.
타미 X 미피 컬렉션은 12월 8일부터 타미 힐피거 가로수길 플래그쉽 스토어 및 엄선된 타미 힐피거, 타미 힐피거 키즈, 타미 힐피거 풋웨어 오프라인 스토어 그리고 H패션몰에서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미피 그래픽을 활용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출시한다. 타미 힐피거 카카오톡 채널 추가 시 총 16가지의 타미X미피 이모티콘을 선착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 |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