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크뮤, 23SS 뮤프리미엄 신상 출시
유아동복
![]() |
사진=밍크뮤 |
[어패럴뉴스 정민경 기자] 유아·아동복 기업 서양네트웍스(대표 박연)의 프리미엄 유아동복 브랜드 '밍크뮤'가 다가오는 2023년 토끼띠의 해를 기념해 ‘밍크뮤 래빗시리즈’ 제품을 출시했다.
올해는 토끼 패턴 및 자수를 이용한 바디수트부터 상하복 세트 등 다양한 상품 7종이 출시됐다.
이번 래빗시리즈의 바디수트 상품은 귀여운 토끼 귀 보넷이 세트로 구성됐다. ‘래빗 니트바디수트SET’는 고급스러운 니트 재질로 크림, 핑크 색상으로 출시됐으며, 귀 토끼 꼬리를 연상시키는 뒤판의 꼬리 장식이 착용 시 아이들의 귀여움을 배가시킨다.
‘래빗 패턴바디수트SET’는 귀여운 토끼와 당근 패턴의 민트 컬러 바디수트 세트로 면 100% 소재로 구성돼 부드럽고 착용감이 뛰어나다. ‘래빗 져지바디수트 SET’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부드러운 아일렛 저지 소재와 레이스 카라를 매치해 고급스러우면서도 사랑스러운 느낌을 동시에 연출할 수 있다.
형제 룩, 자매 룩으로 인기인 상하복의 경우 상의의 토끼 부클자수가 포인트로 남아는 토끼와 당근 패턴이, 여아는 플라워 패턴이 하의에 매치돼 일상복으로도 안성맞춤이다.
제품은 밍크뮤 공식 온라인 스토어에서 확인 가능하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