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스, 팬암·V&A·토트넘 등 라이선싱 활기
캐주얼
발행 2022년 12월 02일
박해영기자 , envy007@apparelnews.co.kr
![]() |
사진=팬암 |
[어패럴뉴스 박해영 기자] 글로벌 라이선싱 기업 인피니스(대표 정선기)가 풍부한 스토리와 콘텐츠를 보유한 브랜드 IP를 전략적으로 확대한 결과, 신규 계약이 급증하고 있다.
이 회사는 빌보드, 팬암, V&A, 라이프, 스마일리, 토트넘 홋스퍼, 브루클린 뮤지엄, 언더그라운드, 바비, 츄파춥스, 람보르기니, 캠브리지 대학, NYBG(뉴욕 보타니칼 가든), ISA(NASA Archives) 등을 보유 중이다.
이들은 다양한 콘텐츠, 입체적인 마케팅, 프리미엄 가치를 접목할 수 있어 오프라인 리오프닝에 나서는 라이선시의 선호도가 높고, 소비자 반응도 뜨겁다.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 팬암, 스톰 런던 등이 대표적이다.
영국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V&A)’은 넷마블의 자회사 넷마블 힐러비와 라이선싱 계약을 체결, 작년 컨템포러리 아트&뷰티 컨셉의 온라인 화장품 ‘V&A 뷰티’를 런칭했다. 당시 국내 최초로 아트적 요소를 수혈하고, 뮤지엄 보유 작품을 재해석한 제품 디자인으로 유수의 국제 어워드에서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V&A 뷰티’는 콘텐츠 차별화로 오프라인 채널까지 확대, 지난 9월 초 롯데 본점 럭셔리 뷰티존을 비롯 총 5개 점을 확보했다.
미국 항공사 ‘팬암(Pan Am)’은 최근 에스제이그룹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재탄생했고, 첫 시즌 삼성동 코엑스 스타필드 등 13개 점을 개설했다. 이중 100평 규모의 ‘팬암’ 성수동 플래그십스토어는 브랜드 헤리티지와 스토리를 다양한 협업을 통해 재해석한 상품들로 채워졌다. 에스제이트렌드가 런칭한 캐주얼 ‘스톰런던(Storm London)’은 9월 롯데 강남점에 첫 매장을 개설했고, 더현대 서울, 잠실 롯데월드몰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
최근 새로운 방식의 협업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는 크리스에프앤씨의 ‘마스터바니에디션’과 협업 컬렉션을 출시하고, 화보 촬영 등을 통해 미래지향적 디자인 컨셉을 구현했다.
아트 콜라보도 활발하다. 일러스트레이터 아티스트 ‘크랙앤칼(Craig & Karl)’과 프랑스 화가 ‘세르주블락(Serge Bloch)’은 이번 추동 시즌 파리게이츠, 팬텀스포츠와 각각 협업 컬렉션을 선보였다. 각 브랜드 컨셉에 맞춰 아티스트의 아트워크를 접목, 철학과 컬쳐를 녹여냈다.
이와 함께 ‘스마일리’와 ‘토트넘 홋스퍼’의 인기도 여전하다. ‘스마일리’는 LF의 핸드백 ‘질스튜어트 액세서리’, 스트리트 캐주얼 ‘아크메드라비’, ‘베루툼’과 협업을 진행했다. ‘토트넘’은 GS리테일과 계약, 현재 편의점 GS25에서 다양한 상품을 판매중이다.
![]() |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