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체, 라이브커머스 직접 투자 확대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 |
사진=다음앤큐큐 리사이클 다운 인증텍 |
자체 리사이클 솔루션 ‘더즌케어시스템’ 개발
해외 수출 이어 PXG, 밀레 등 국내 공급 시작
[어패럴뉴스 오경천 기자] 다운 충전재 전문기업 다음앤큐큐(대표 이우홍)가 리사이클 솔루션 ‘더즌케어시스템’을 통해 고품질의 리사이클 다운 공급을 국내외로 확대한다.
더즌케어시스템은 다음앤큐큐가 경기도 파주시 자가 공장에 자체적으로 구축한 리사이클 솔루션이다.
의류와 침구류 등 폐기된 상품에서 다운을 수거하고 충전재를 모아 컬러, 종류별로 구분한 후 천연 다운 생산과 동일하게 세척 후 고온에서 건조, 살균, 냉각 과정을 거쳐 혼합기를 사용해 품질에 맞는 규격으로 생산된다.
2019년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해외 시장으로 수출하고 있다. 2022년 제품까지 3년 동안 해외로 수출된 물량만 20톤에 달한다. 경량 다운점퍼(200g 기준) 20만 장에 달하는 양이다.
최근에는 PXG, 밀레, 제로그램 등 국내 브랜드에도 공급을 시작했다. 2022년 겨울 제품을 시작으로 2023년에는 공급량이 대폭 늘었다.
공급이 안정화되면서 자체 리사이클 인증텍도 개발했다. 재활용 의류와 침구의 제품에서 수거된 다운을 재가공해 고품질의 다운으로 재생산됐다는 것을 인증하는 텍이다.
이우홍 다음앤큐큐 대표는 “최근 1~2년 사이 국내 시장에서도 리사이클 다운에 대한 수요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수출은 물론 국내 공급도 본격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다음앤큐큐는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인 동시에 기술 혁신을 통한 다운 제품의 기능 업그레이드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앤큐큐는 RDS 인증을 받은 천연 다운을 공급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개발 중인 원단형 ‘씬 구스(가칭)’를 내년 하반기부터는 공급할 예정이다. 특히 원단형 다운은 자체적으로 기술 개발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기능성의 제품 공급 가능하다.
이로써 천연 다운, 리사이클 다운, 원단형 다운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됐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