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텐, 일산차병원점 매장 오픈
SPA
![]() |
'탑텐' 이대서울병원점 |
올해 555개점, 7800억 원 예상...신장률 41%
가전매장, 대학병원 등 신개념 채널 적극 개발
[어패럴뉴스 정민경 기자] 신성통상(대표 염태순)의 토종 SPA ‘탑텐’이 오는 2025년 1조 원 매출을 목표로 순항 중이다.
올 11월 13일까지 누적 매출은 전년 대비 41% 신장했으며, 올해 555개 점에서 7800억 원을 바라보고 있다.
내년에는 626개 점에서 9200억 원의 매출을, 이듬해 1조 원을 돌파한다는 목표다. 계획대로라면 2025년 ‘탑텐’이 국내 단일 패션 브랜드로는 최초 1조 원의 문턱을 넘어서게 된다.
이 같은 성장세는 공격적인 유통망 확대와 에센셜 상품 강화 및 다각화 전략이 뒷받침됐다.
백화점과 마트 등 대형 유통 채널에서의 매장 확대는 물론, 외형과 효율을 동시에 가져갈 수 있는 교외형 직영점을 10~20만 인구 이상 도시부터 소도시까지 전국구로 확장했다.
![]() |
'탑텐' 이대서울병원점 내부 |
‘탑텐’만의 유통 채널 개발도 주목을 끈다. 삼성디지털플라자 울산점, 하이마트 부산점, 최근 오픈한 이대서울병원점까지 다른 업종 유통으로 진출했다. 특히 이대서울병원점의 경우, 패션 브랜드가 종합병원 내 매장을 오픈한 첫 케이스로, 병원 특성에 맞춰 상품을 구성하고 편의시설을 갖추는 등 차별화를 시도했다.
다른 업종 간 협업으로는 새로운 고객 창출 효과를 보고 있다.
기능성 내의 시장에서 ‘탑텐’의 파워는 한층 강해졌다. 매출은 온에어, 쿨에어 기능성 내의를 중심으로 언더웨어와 밸런스 상품이 견인했고, 에코 소재로 기획한 상품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투자도 이어간다. 가성비 좋은 브랜드라는 이미지에서 한 단계 나아가 소재와 디자인 퀄리티 향상에 주력한다. 그 일환으로, 지난 10월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강혁’의 듀오 디자이너와 콜라보한 하이엔드 캡슐 컬렉션을 선보였다. 선판매 프로모션에서는 아우터를 완판하는 등 큰 인기를 모았다.
볼륨을 키울 만한 카테고리 개발도 적극적이다. 지난해 런칭한 액티브 라인 ‘밸런스’는 단독 매장으로도 볼륨을 키웠고, 내년 ‘탑텐 홈’ 런칭을 위한 시장 분석과 상품을 개발 중이다.
![]() |
'탑텐' 이대서울병원점 내부, 외관 쇼윈도우 |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내 생산 및 바잉 활동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 1월 말을 기점으로 공장인력들의 복귀와 광저우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해, 이달 현재는 인력 복귀 문제만 제외하고 코로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주최하는 '2023 F/W 서울패션위크'가 15일부터 19일까지 5일 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됐다. 올해 서울패션위크에 투입되는 예산은 총 62억 원(2회 기준), 이번 행사는 유니온, 더모델즈, 트레이드커뮤니티 등이 운영사로 참여했다.
지난해 수도권 28개 백화점·아울렛의 남성 캐릭터캐주얼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2%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패션 대형사들이 줄줄이 역대급 실적을 내놨다. 거래소 및 코스닥에 상장한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패션 대형사들이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이 사상 최대의 매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패션부문 매출이 처음으로 2조 원을 돌파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이 성장하는 가운데, 주도권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백화점·아울렛 30개에서 14개 브랜드의 전년 대비 평균 매출 신장률은 30%대를 기록했다.
‘자라’로 대표되는 스페인 패스트 패션 인디텍스는 외형에서 세계 1위다. 인디텍스의 1월 말 결산 지난해 실적이 발표됐다. 매출이 전년보다 17.5% 늘어난 326억 유로 (349억9,000만 달러), 원화 약 45조8,000억 원, 이익금은 27% 늘어난 41억 유로(44억 달러)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