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텐, 유니세프한국위원회와 사회공헌 업무협약 체결
캐주얼
![]() |
'탑텐' 이대서울병원점 |
올해 555개점, 7800억 원 예상...신장률 41%
가전매장, 대학병원 등 신개념 채널 적극 개발
[어패럴뉴스 정민경 기자] 신성통상(대표 염태순)의 토종 SPA ‘탑텐’이 오는 2025년 1조 원 매출을 목표로 순항 중이다.
올 11월 13일까지 누적 매출은 전년 대비 41% 신장했으며, 올해 555개 점에서 7800억 원을 바라보고 있다.
내년에는 626개 점에서 9200억 원의 매출을, 이듬해 1조 원을 돌파한다는 목표다. 계획대로라면 2025년 ‘탑텐’이 국내 단일 패션 브랜드로는 최초 1조 원의 문턱을 넘어서게 된다.
이 같은 성장세는 공격적인 유통망 확대와 에센셜 상품 강화 및 다각화 전략이 뒷받침됐다.
백화점과 마트 등 대형 유통 채널에서의 매장 확대는 물론, 외형과 효율을 동시에 가져갈 수 있는 교외형 직영점을 10~20만 인구 이상 도시부터 소도시까지 전국구로 확장했다.
![]() |
'탑텐' 이대서울병원점 내부 |
‘탑텐’만의 유통 채널 개발도 주목을 끈다. 삼성디지털플라자 울산점, 하이마트 부산점, 최근 오픈한 이대서울병원점까지 다른 업종 유통으로 진출했다. 특히 이대서울병원점의 경우, 패션 브랜드가 종합병원 내 매장을 오픈한 첫 케이스로, 병원 특성에 맞춰 상품을 구성하고 편의시설을 갖추는 등 차별화를 시도했다.
다른 업종 간 협업으로는 새로운 고객 창출 효과를 보고 있다.
기능성 내의 시장에서 ‘탑텐’의 파워는 한층 강해졌다. 매출은 온에어, 쿨에어 기능성 내의를 중심으로 언더웨어와 밸런스 상품이 견인했고, 에코 소재로 기획한 상품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투자도 이어간다. 가성비 좋은 브랜드라는 이미지에서 한 단계 나아가 소재와 디자인 퀄리티 향상에 주력한다. 그 일환으로, 지난 10월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강혁’의 듀오 디자이너와 콜라보한 하이엔드 캡슐 컬렉션을 선보였다. 선판매 프로모션에서는 아우터를 완판하는 등 큰 인기를 모았다.
볼륨을 키울 만한 카테고리 개발도 적극적이다. 지난해 런칭한 액티브 라인 ‘밸런스’는 단독 매장으로도 볼륨을 키웠고, 내년 ‘탑텐 홈’ 런칭을 위한 시장 분석과 상품을 개발 중이다.
![]() |
'탑텐' 이대서울병원점 내부, 외관 쇼윈도우 |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행동주의 펀드로 최근 유명세를 타고 있는 트러스톤자산운용(대표 김영호, 황성택)이 패션, 소재 기업의 지분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특정 기업의 지분 확보를 통해 주주 지위를 획득한 후
지방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완전히 회복세로 돌아섰다. 조사 점포별로 약 80~90%의 브랜드들이 전년 대비 신장했고, 신장률도 두 자릿수 이상 큰 폭 상승했다. 브랜드별로는 ‘탠디’가 6개, ‘금강’이 2개, ‘닥스’가 1개 점에서 1위를 차지했다.
패션 경기가 심상치 않다. 12월 말부터 주춤하기 시작하더니, 1월 들어서는 업계 전반에 걸쳐 역신장 흐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남성복, 여성복, 아웃도어 등 대중적인 시장은 물론이고, 꺾일 줄 모르던 명품 시장마저도 주춤하다. 작년, 재작년 높은 성장세를
LF(대표 오규식, 김상균)가 MZ세대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자사몰인 LF몰과 운영 브랜드의 온라인 채널 강화가 핵심이다. 우선 LF몰은 20~30대 타깃의 입점 브랜드를 육성하고 콘텐츠 제작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입점 브랜드들의 거래액 비중은 20%였다.
글로벌 명품 시장을 리드하는 LVMH 그룹의 12월 말 결산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23% 늘어난 791억8,400만 유로(862억 달러), 당기 순이익은 17% 늘어난 141억 유로로 마감됐다.
최근 질레니얼스(Zillenerials)라는 말이 등장했다. Z세대와 밀레니얼스 세대의 합성어다. 제네리얼스(Zenerials)라고도 한다. 그만큼 밀레니얼스와 Z세대가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강해졌다는 의미를 뜻하는데, 특히 패션과 명품의 경우 더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