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디, 30대 여성 패션쇼핑앱 ‘플레어’ 런칭
이커머스
![]() |
사진제공=마미 |
MZ세대 엄마 아이방 꾸미기 관심 많아
유아용 가구 및 소품 판매량 300배 성장
[어패럴뉴스 박해영 기자] 브랜디(대표 서정민)가 만든 육아플랫폼 '마미(MAMI)'가 출시 6개월만에 거래액이 3000% 초고속 성장했다고 21일 밝혔다.
마미는 육아하는 엄마들을 위한 버티컬 커머스앱이다. 임신, 출산 준비물부터 유아동 패션, 베이비용품, 교재 및 교구 등 아이를 키우는데 필요한 모든 육아 카테고리와 제품을 제안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리빙/라이프와 맘’s라이프 카테고리가 전체 거래액의 성장을 견인했다. 아이를 위한 침구, 매트, 안전용품, 가구, 소품 등을 제안하는 리빙/라이프 카테고리는 지난 6개월간 거래액 기준 100배 성장을 이뤘다.
특히 아이방 꾸미기에 관심이 많은 MZ세대 엄마들의 수요와 함께 리빙/라이프 카테고리 내 가구와 소품 판매가 폭풍 성장했다. 책장, 쇼파, 침대 등 유아용 가구부터 매트, 모빌, 조명 등 소품 주문량은 런칭 초 대비 300배나 성장하며 기염을 토했다. 또한, 0~24개월 영아를 키울 때 필수 육아템으로 꼽히는 기저귀 정리함, 장난감 정리함 등의 수납 및 정리 상품의 주문량은 130배 늘었다.
엄마 고객들은 자신을 위한 쇼핑도 함께 즐겼다. 엄마를 위한 패션 상품을 제안하고 있는 맘’s라이프 카테고리에서는 원마일웨어와 임산부산모를 위한 패션 상품 성장세가 높았고, 전체 거래액은 런칭 초 대비 90배 성장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성장세에 대해 마미는 버티컬 커머스앱의 장점을 극대화해 선배 엄마가 추천해주는 엄마를 위한 상품 큐레이션 전략이 유효했다고 분석했다. 첫 출산 후 성장단계별로 무엇이 필요한지 정보가 많지 않은데, 긴 정보탐색 과정을 줄이고 선배 엄마들이 추천한 유아동 의류, 육아용품은 물론 엄마 옷까지 한번에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으로 작용했다.
육아쇼핑앱 마미 사용자는 꾸준히 늘어, 월간 활성사용자수(MAU)는 런칭 초 대비 8배 이상 늘었고 일간 활성사용자수(DAU)는 15배로 빠르게 성장중이다. 지난해 12월 모바일인덱스 기준으로 유아동의류 카테고리 앱다운로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원단과 부자재, 공임, 운임 비용 등 상품 제조 원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주요 소싱국들의 코로나 변수, 길어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여파로 상승세가 꺾일 기미가 없고,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원부자재 가격은 종류별로 다르지만
현대백화점이 스포츠 브랜드의 매장 수를 축소한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는 판교점, 더현대 서울 등 주요 점포에서 스포츠 매장의 층 이동은 물론, 매장 수도 일부 축소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최근 글로벌 시장 조사 전문의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Allied Market Research)가 2030년 글로벌 데님 시장 규모가 881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 보고서를 내놨다.
나이키와 아디다스를 선두로 스포츠와 명품의 콜라보레이션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3월 ‘뉴발란스’와 컬트 패션 ‘에리즈’의 협업 컬렉션에 이어 ‘나이키’와 프랑스 명품 ‘자크뮈스’, ‘아디다스’와 ‘구찌’의 콜라보가 눈앞에 다가와 있다.
홈쇼핑 전문 벤더사들이 생존 전략을 모색 중이다. 최근 유력 벤더사들의 순이익률이 3~5%로 내려앉았고, 영업 이익도 10% 이하로 줄었다.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생산 원가가 전년 대비 25% 이상 상승한 반면, 홈쇼핑 수수료는 기존 30% 후반에서
해외 프리미엄 유아 용품이 나 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부가부, 스토케, 싸이벡스 등 해외 프리미엄 유모차 브랜드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저출산과 코로나 팬데믹에도 큰 타격 없이 매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오히려 코로나 시국에 소비 양극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