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TV쇼핑, CJ대한통운과 ‘전략적 풀필먼트 협력 MOU’
홈쇼핑
[어패럴뉴스 조은혜 기자] 신세계그룹의 홈쇼핑채널(T커머스) 신세계TV쇼핑(대표 김홍극)이 지난 17일 법인명을 신세계티비쇼핑에서 신세계라이브쇼핑으로 변경하는 등기 절차를 마쳤다.
신세계TV쇼핑은 온라인·모바일 중심으로 변화하는 유통 환경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온라인 라이브쇼핑 플랫폼' 으로서의 비전과 사업역량 강화를 위해 사명을 새롭게 변경했다고 밝혔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모바일 사업 및 디지털 플랫폼 1등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T커머스 기반의 TV방송 외에도 온라인 및 모바일 라이브 방송을 통한 판매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의 CI와 BI는 오는 6월경 변경될 예정이며, TV방송 및 모바일 방송에서 사용하는 채널명인 ‘신세계쇼핑’은 그대로 유지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원단과 부자재, 공임, 운임 비용 등 상품 제조 원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주요 소싱국들의 코로나 변수, 길어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여파로 상승세가 꺾일 기미가 없고,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원부자재 가격은 종류별로 다르지만
현대백화점이 스포츠 브랜드의 매장 수를 축소한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는 판교점, 더현대 서울 등 주요 점포에서 스포츠 매장의 층 이동은 물론, 매장 수도 일부 축소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최근 글로벌 시장 조사 전문의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Allied Market Research)가 2030년 글로벌 데님 시장 규모가 881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 보고서를 내놨다.
나이키와 아디다스를 선두로 스포츠와 명품의 콜라보레이션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3월 ‘뉴발란스’와 컬트 패션 ‘에리즈’의 협업 컬렉션에 이어 ‘나이키’와 프랑스 명품 ‘자크뮈스’, ‘아디다스’와 ‘구찌’의 콜라보가 눈앞에 다가와 있다.
홈쇼핑 전문 벤더사들이 생존 전략을 모색 중이다. 최근 유력 벤더사들의 순이익률이 3~5%로 내려앉았고, 영업 이익도 10% 이하로 줄었다.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생산 원가가 전년 대비 25% 이상 상승한 반면, 홈쇼핑 수수료는 기존 30% 후반에서
해외 프리미엄 유아 용품이 나 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부가부, 스토케, 싸이벡스 등 해외 프리미엄 유모차 브랜드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저출산과 코로나 팬데믹에도 큰 타격 없이 매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오히려 코로나 시국에 소비 양극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