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급망 빠르게 회복...코로나 영향 완전히 벗어났다
중국 내 생산 및 바잉 활동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 1월 말을 기점으로 공장인력들의 복귀와 광저우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해, 이달 현재는 인력 복귀 문제만 제외하고 코로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발행 2023년 02월 03일
박해영기자 , envy007@apparelnews.co.kr
![]() |
사진=게티이미지 |
트러스톤자산운용, BYC, 태광 등 2대 주주 지위 획득
기업 가치 향상, 지배 구조 개선 등 적극적 경영 참여
[어패럴뉴스 박해영 기자] 행동주의 펀드로 최근 유명세를 타고 있는 트러스톤자산운용(대표 김영호, 황성택)이 패션, 소재 기업의 지분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특정 기업의 지분 확보를 통해 주주 지위를 획득한 후 주주 배당을 늘리거나 지배 구조를 개선할 것을 요구하는 등 적극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펀드를 일컫는다.
트러스톤은 그 중 지배 구조 개선에 주로 관심을 보이며, 기업의 건전성 확보와 주주 이익 향상에 초점을 맞추며 이름을 알려 왔다.
현재까지 트러스톤이 지분을 사들인 패션 기업은 BYC, LF, 태광산업, 감성코퍼레이션, 에스제이그룹 등으로, 투자 포트폴리오의 80% 이상이 패션 및 소재 기업에 쏠려있다.
이에 대해 트러스톤 관계자는 “현재 포트폴리오는 적극적인 권리 행사를 위한 목적투자와 단순투자로 나뉜다. 주주 권리 행사를 위해 적극적으로 지분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은 BYC, LF, 태광산업 등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적극적인 지분 투자는 자본 효율성(ROE)이 낮고 주주 환원 정책이 미흡한 기업들을 찾아 진행하는 것으로, 패션&섬유 산업에 집중한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트러스톤은 비와이씨 지분을 8.96%까지 늘리면서 2대 주주로 올라서, 경영 참여가 가능해졌다. 현재 BYC를 상대로 적극적인 주주 활동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다.
법원으로부터 대주주 일가의 거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이사회 의사록 열람을 청구, 최근 승인을 받았다. 트러스톤은 비와이씨가 부동산 가치가 1조, 3년 연속 영업이익 200억대를 기록한 우량 기업이지만 시가총액이 2,000억대로 저평가되어 있어, 주식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투자재원의 비효율적 배치, 특수 관계자 간 내부거래에 관한 부당성 의혹, 시장과 커뮤니케이션 부재 등의 문제를 들어, 오는 3월 주총에서 BYC 임원 교체를 추진한다.
하지만 실제 임원 교체는 쉽지 않은 상황. 현재 비와이씨는 한석범 회장, 아들 한승우 상무, 딸 한서원 이사 등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60%를 넘기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트러스톤의 활동이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최근 비와이씨는 이들의 요구에 따라 내부거래권리위원회를 신설했고, ESG 위원회 신설도 추진중이다.
트러스톤은 태광산업의 지분도 5.80%를 보유한 2대 주주다. 태광산업에 현금성 자산에 대한 활용방안, 주식 유동성 확대, 합리적인 주주환원 정책 수립, 정기적인 IR(기업설명회) 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최근에는 LF의 지분을 5.04%를 확보하기도 했다. 다만 경영권 행사 목적은 없으며, 적극적인 유형의 주주 활동을 하는 ‘일반 투자’라고 밝혔다.
트러스톤은 초기에는 대부분 일반 투자 목적으로 지분을 보유하다, 나중에 경영 참여로 변경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투자 업계는 LF가 경영권 승계를 위해 지분을 늘리고 있는 만큼 트러스톤이 지배 구조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외 감성코퍼레이션, 에스제이그룹 등에 대해서는 ‘단순 투자’ 목적으로 각각 5.11%, 5.49%를 확보하고 있다.
트러스톤 측 관계자는 “자본 효율성 제고 등 경영 개선을 위한 요구에 변화가 없을 경우 주주제안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내 생산 및 바잉 활동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 1월 말을 기점으로 공장인력들의 복귀와 광저우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해, 이달 현재는 인력 복귀 문제만 제외하고 코로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주최하는 '2023 F/W 서울패션위크'가 15일부터 19일까지 5일 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됐다. 올해 서울패션위크에 투입되는 예산은 총 62억 원(2회 기준), 이번 행사는 유니온, 더모델즈, 트레이드커뮤니티 등이 운영사로 참여했다.
지난해 수도권 28개 백화점·아울렛의 남성 캐릭터캐주얼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2%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패션 대형사들이 줄줄이 역대급 실적을 내놨다. 거래소 및 코스닥에 상장한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패션 대형사들이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이 사상 최대의 매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패션부문 매출이 처음으로 2조 원을 돌파
남성 컨템포러리 조닝이 성장하는 가운데, 주도권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백화점·아울렛 30개에서 14개 브랜드의 전년 대비 평균 매출 신장률은 30%대를 기록했다.
‘자라’로 대표되는 스페인 패스트 패션 인디텍스는 외형에서 세계 1위다. 인디텍스의 1월 말 결산 지난해 실적이 발표됐다. 매출이 전년보다 17.5% 늘어난 326억 유로 (349억9,000만 달러), 원화 약 45조8,000억 원, 이익금은 27% 늘어난 41억 유로(44억 달러)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