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체, 라이브커머스 직접 투자 확대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 |
사진=게티이미지 |
최근 2~3년간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국내 골프 시장이 올 하반기 들어 주춤하고 있다.
‘하늘의 별따기’라고 했던 골프장 예약은 어렵지 않게 가능해졌고, 연평균 30~40%의 성장세를 달리던 골프 클럽 및 의류 시장도 성장세가 꺾였다.
장비 시장은 하반기 들어 보합세, 의류 시장은 10%대 저성장으로 상승 폭이 가라앉았다. 특히 장비 시장은 신규 유입이 줄고, 이탈자로 인한 중고거래 증가로 내년 역신장까지 전망하고 있다.
의류 업계는 그나마 좀 낫다. 장비는 구매 주기가 길지만, 의류는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이다. 또 일상복으로의 활용도 크다는 점에서 수요가 급격히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업계는 당분간 지금의 시장 규모는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의류 업계의 역신장이 예상보다 빨리 찾아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우선 골프장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는 기업들의 접대비용이 크게 줄 가능성이 크다. 세계적인 경기침체 속에 기업들의 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내년부터 접대비용의 감소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중소 사업자들도 필드 영업을 줄이는 분위기다. 한 중소업체 대표는 “고환율, 고금리로 인해 경영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필드 영업 횟수를 절반으로 줄였다. 그린피와 캐디피 등 골프장 사용 비용도 증가해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필드 활동이 줄어들면 의류에 대한 소비도 자연스레 줄기 마련이다.
또 골프 시장 성장의 원동력 중 하나였던 20~30대들이 해외여행이나 테니스 등 다른 레저활동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골프를 트렌드로 접근했던 소비자들도 적지 않다. 특히 경제력이 높거나 회원권을 가진 기업들을 제외하고는 경기침체 속에 꾸준한 필드 이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골프웨어 시장을 겨냥한 기업들의 투자는 끊이질 않고 있다.
내년에도 굵직한 기업들이 신규 브랜드를 대거 내놓을 예정이다. 또 최근 2~3년 사이 런칭한 신규 브랜드들도 시장 안착을 위해 공격적인 사업 계획을 준비 중이다.
자본력이나 포트폴리오가 탄탄한 기업들은 시장을 점유하기 위해 필사적인 투자에 나설 것이다. 하지만 단일 브랜드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업체들에게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기업들은 이제 내년 사업을 위한 계획 수립에 들어간다. 중소업체들은 올 하반기의 시장 상황, 그리고 향후 경기 및 시장 전망을 다시 한번 꼼꼼하게 체크 해봐야 할 것이다. 마냥 좋았던 시절은 올해로 끝났다.
![]() |
오경천 기자 |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