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체, 라이브커머스 직접 투자 확대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 |
하우스 우영미 외관 |
우영미 디자이너, 설계에 참여
브랜드 역사와 글로벌 비전 담아
[어패럴뉴스 이종석 기자] 컨템포러리 남성복 '솔리드옴므', 디자이너 브랜드 '우영미'를 전개하는 쏠리드(대표 우영미)가 지난 5월 서울 광진구 구의동으로 이전한 사옥 ‘하우스 우영미’를 새롭게 오픈했다.
‘하우스 우영미’는 우영미 디자이너가 직접 디자인과 설계에 참여했다. 레이블의 시그니처 미학이 드러나는 건축적 요소와 패션 하우스 본부의 기능을 결합한 아틀리에로 재탄생 시켰다. 6개 층에 걸쳐 재구성된 구조는 아카이브 컬렉션 및 수많은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 작품을 포함한 브랜드의 역사와 글로벌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는 공간이다.
외관 디자인은 유럽 중세 건축물의 대표 양식이자 기술인 루버(louver)에 우영미의 콘텐츠를 결합했다. 루버는 폭이 좁은 판을 비스듬히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한 것으로 직사광과 비를 막고 통풍이나 환기를 목적으로 한다.
우영미 대표는 "우리가 새 건물을 찾기 시작했을 때 패션 디자인과 구상에 가장 적당한 공간을 상상했다. 생각을 풍부하게 하고, 에너지가 흐르고, 진화하는 사고가 가득한 건물을 만드는 것이 오랜 꿈이었다. 마침내 실현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 |
하우스 우영미 내부 |
전체적인 건물의 레이아웃은 우영미 직원들의 상호작용과 편이한 동선을 고려해 설계됐다. 건물 1층에 위치한 도서관은 역할에 관계없이 책을 빌리고 영감을 찾는 모든 직원에게 열려 있다.
5개의 디자인 및 생산 부서, 피팅룸과 디자인 스튜디오, 아틀리에와 패브릭에 이르기까지 브랜드의 요소요소를 담당하는 부서가 건물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디자이너 우영미의 공간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2층 각 브랜드 프레젠테이션 룸 옆에 자리한다.
우영미 디자이너의 새로운 디자인 본부는 두 개의 하우스 브랜드의 본질을 포착해 브랜드만의 아이덴티티를 인테리어 디테일에 녹였다. 건물을 에워싼 레드 루버, 따뜻한 화이트 도서관, 강렬한 카마인레드 커튼에 둘러싸인 회의 룸, 거대한 오가닉 원형 모형의 리셉션 공간 등 브랜드의 무드를 공간에 담았다.
‘하우스 우영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우영미 및 솔리드옴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