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 신발 격전지 변모
기사 기타
![]() |
'아디다스'가 엠플라자에 대형 플래그십 스토어를 내년 1월 오픈한다. / 사진=어패럴뉴스 |
외국인 발걸음 늘어 … 80% 수준 회복
패션, F&B 등 기업들 투자 재개 분위기
[어패럴뉴스 오경천 기자] 서울의 중심 명동 상권이 부활의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고 3년여 가까이 침체됐던 명동이 최근 활기를 찾기 시작했다. 유동인구 증가는 물론이고 새롭게 오픈을 준비 중인 점포들이 곳곳에서 눈에 띈다.
지난달 25일 오후 찾은 명동은 코로나19 이전의 모습까지는 아니지만, 작년과 비교해서는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팬데믹 기간 급감했던 외국인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눈에 띄게 늘었고, 한동안 보기 드물었던 노점상들도 모처럼 진을 치고 손님을 마주하기 바빴다.
상권 한 관계자는 “유동인구가 코로나 이전의 70~80%까지 회복됐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어 더욱 활기가 띨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관광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3월까지만 해도 월 10만 명 미만이었던 외국인들의 입국은 6월 20만 명을 넘어섰고, 8월에는 30만 명을 돌파했다. 9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276% 증가한 33만7,638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초와 비교해서도 4배에 달하는 수치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늘어나면서 명동상권에 다시 매장을 내려는 기업들의 투자도 잇따르고 있다.
![]() |
ABC마트가 명동 4호점 ST명동길점 오픈을 준비 중이다. / 사진=어패럴뉴스 |
‘ABC마트’는 눈스퀘어 맞은편 상권 초입에 명동 4번째 매장 ST명동길점 오픈을 준비 중이며, ‘아디다스’는 엠플라자에 지하 1층, 지상 2층 영업 면적 2500㎡ 규모의 초대형 매장 ‘아디다스 서울스토어’를 내년 1월 오픈할 예정이다.
앞서 작년 9월 ‘스파오’가 눈스퀘어 3층에 다시 문을 열었고, 12월 ‘아이더’가 3층 규모의 대형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했다. 또 스포츠 브랜드 ‘FIFA’는 내년 초 오픈을 목표로 임대 계약을 마무리 중이며, ‘UFC’도 내년 상반기 명동에 3번째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한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상권 곳곳마다 오픈을 준비 중인 매장들이 눈에 띈다. 패션은 물론 뷰티, F&B 등 다양한 업종에서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커피 브랜드 ‘블루보틀’은 12월 눈스퀘어에 매장을 연다.
한국부동산원 데이터에 따르면 올 3분기 명동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43%로 작년 4분기 대비 7.1%포인트가량 줄었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도 36.9%로 작년 4분기 대비 13.4%포인트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권 관계자들은 내년 하반기면 공실률도 상당히 줄어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절대 비중을 차지했던 중국인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언제 회복될지가 관건이다. 코로나 이전 중국인 관광객들의 비중은 40%에 육박했지만, 올해 9월 기준으로 8.7%에 불과하고, 동남아 관광객이 크게 늘었다.
< 저작권자 ⓒ 어패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패션업계가 라이브커머스 방송 및 콘텐츠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유통사 연계뿐 아니라 전담팀 구성을 통한 라이브 판매 및 재미요소를 갖춘 콘텐츠 확대, 자체 전문 쇼호스트 육성 등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며 이커머스 확장을 꾀한다.
K뷰티, K푸드의 열풍이 패션 시장에서도 통할까. 최근 한국 패션에 대한 해외 리테일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엔 중국이 절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에는 일본, 유럽, 미국, 대만, 중동 등 특정 국가가 아닌 해외 전반에서 관심이 높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9개 백화점의 지난해 제화 매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점포별로 90% 이상의 브랜드가 전년 대비 신장했고, 최소 3%, 최대 155%, 평균 20~30% 상승했다. 점포별 신장한 브랜드 비중은 작년 상반기 20~50%에 그쳤지만, 연간 누계로는 80~100%로 크게 늘었다.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체제가 부상하고 있다. CD가 사업부장·부문장을 맡으며, 성과를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럽과 미주에서 시작된 CD의 개념은 기존 디자인실장과는 크게 다르다. 디자인은 CD가 아우르는 업무 중 하나다. 브랜드 컨셉 설정부터
여성복 업계가 유니섹스, 남성 라인 전개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2~3년 간 기존 브랜드의 라인 확장, 신규 브랜드 런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이 대표하는 여성 제품을 매치한 남성 연예인, 셀럽들의 착장 노출이 늘고,
지난해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 지출이 325달러(40만 원)로 세계 1위에 올랐다고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토대로 보도했다.